수로의 불편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다
네덜란드 수도 암스테르담에서 160km가량 떨어진 히트호른은 인구 2,800여 명이 살고 있는 작은 마을이다. 유럽에서는 ‘네덜란드의 베네치아’, ‘북쪽의 베네치아’로 불리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스머프 마을’로 유명하다. 추억의 TV 만화 <개구쟁이 스머프>에 나온 스머프 마을과 비슷해 붙은 이름이다.
히트호른은 치유 농업, 경관 농업의 선두 주자 네덜란드에서도 대표적 관광형 농촌 마을로 꼽힌다. 자연경관이 빼어난 데다 도로가 없는 불편을 관광자원으로 바꾼 것이 성공 비결이다. 이 마을에 도로가 없는 이유는 마을의 역사에서 찾을 수 있다. 히트호른은 1230년 대홍수와 페스트, 종교 박해 등으로 지중해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세운 마을이다. 당시 이곳에서 홍수로 죽은 산양의 뿔이 다량 발견되면서 네덜란드어로 ‘염소 뿔(geytenhoren)’을 의미하는 헤이테호런으로 불리다 히트호른(Giethoorn)으로 바뀌었다. 이주민들은 이곳 습지대에서 석탄의 한 종류인 이탄을 채굴했다. 이로 인해 습지대는 넓은 호수로 변해갔고, 주민들이 이탄을 운반하기 위해 작은 운하를 만들면서 마을 곳곳에 작은 섬이 만들어졌다. 운하의 깊이는 1m 정도로 퓐터르(punter, 히트호른의 전통 배)를 이용해 이탄 등 물자를 실어 날랐다. 그러나 이탄 채굴이 멈추면서 마을은 변화의 갈림길에 선다. 주민들이 선택한 것은 빼어난 자연경관과 마을의 가치를 관광 상품화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