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종은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로 음력 5월, 양력으로는 6월 6일 무렵이다. 올해는 6월 5일이다. 망종의 ‘망(芒)’은 벼·밀·보리 같은 까끄라기, 즉 수염이 있는 곡식을 말한다. 여기에 씨앗을 뜻하는 ‘종(種)’이 붙어 ‘수염이 붙은 곡식의 종자를 거두고 뿌리기 적당한 때’라는 의미를 지닌다.
봄에 화사한 꽃으로 자태를 뽐내던 매화나무 등이 열매를 맺어 수확하는 것도 이즈음이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보릿고개 시절 보리를 베어 긴 춘궁기에서 벗어나 겨우 한숨 돌리던 때도 이 무렵이었다.
망종과 관련한 속담으로는 “보리는 망종 전에 베어라”라는 말이 유명하다. 이는 망종까지 보리를 모두 베어야 논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망종을 넘기면 보리가 바람에 쓰러질 수도 있으니 이를 경계하라는 뜻도 담고 있다.
망종에 즐길 수 있는 음식은 보리로 만든 것이 대부분이지만, 지방마다 차이가 있다. 전라도에서는 ‘보리그스름(보리그을음)’이라 해서 풋보리를 불에 그을려 먹었고, 제주에서는 보리알을 맷돌에 갈아 보릿가루를 만든 후 죽을 만들어 먹기도 했다. 또 망종에 보리를 밤이슬 맞혀 다음 날 먹는 곳도 있다. 허리 아픈 데 약이 되고 그해 질병 없이 지낼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망종 세시풍속으로는 ‘망종보기’가 있다. 이는 망종이 일찍 들고 늦게 듦에 따라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것이다. 음력 4월에 망종이 들면 보리 농사가 잘돼 빨리 거둘 수 있으나 5월에 들면 그해 보리 농사가 늦어 망종 내에 보리를 수확할 수 없다. 즉 망종이 일찍 들고 늦게 듦에 따라 그해 보리 수확이 늦고 빠름을 판단했다.
또 보리를 수확해 식량 걱정을 덜 수 있는 시기인 망종을 ‘가장 좋은 날’로 여기고, 조상들의 보살핌에 고마워하는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고려 현종 때 “망종이면 전쟁에서 죽은 장병의 뼈를 집으로 보내 제사를 지내게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걸 보면 나라에서도 망종을 기점으로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군사에 대한 예를 갖춘 것으로 보인다. 6·25전쟁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현충일이 6월 6일로 제정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봄에 화사한 꽃으로 자태를 뽐내던 매화나무 등이 열매를 맺어 수확하는 것도 이즈음이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보릿고개 시절 보리를 베어 긴 춘궁기에서 벗어나 겨우 한숨 돌리던 때도 이 무렵이었다.
망종과 관련한 속담으로는 “보리는 망종 전에 베어라”라는 말이 유명하다. 이는 망종까지 보리를 모두 베어야 논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망종을 넘기면 보리가 바람에 쓰러질 수도 있으니 이를 경계하라는 뜻도 담고 있다.
망종에 즐길 수 있는 음식은 보리로 만든 것이 대부분이지만, 지방마다 차이가 있다. 전라도에서는 ‘보리그스름(보리그을음)’이라 해서 풋보리를 불에 그을려 먹었고, 제주에서는 보리알을 맷돌에 갈아 보릿가루를 만든 후 죽을 만들어 먹기도 했다. 또 망종에 보리를 밤이슬 맞혀 다음 날 먹는 곳도 있다. 허리 아픈 데 약이 되고 그해 질병 없이 지낼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망종 세시풍속으로는 ‘망종보기’가 있다. 이는 망종이 일찍 들고 늦게 듦에 따라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것이다. 음력 4월에 망종이 들면 보리 농사가 잘돼 빨리 거둘 수 있으나 5월에 들면 그해 보리 농사가 늦어 망종 내에 보리를 수확할 수 없다. 즉 망종이 일찍 들고 늦게 듦에 따라 그해 보리 수확이 늦고 빠름을 판단했다.
또 보리를 수확해 식량 걱정을 덜 수 있는 시기인 망종을 ‘가장 좋은 날’로 여기고, 조상들의 보살핌에 고마워하는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고려 현종 때 “망종이면 전쟁에서 죽은 장병의 뼈를 집으로 보내 제사를 지내게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걸 보면 나라에서도 망종을 기점으로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군사에 대한 예를 갖춘 것으로 보인다. 6·25전쟁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현충일이 6월 6일로 제정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망종에 준비하는 농사
망종 무렵 보리 베고 밭갈이하고 모내기를 하는 본격적인 농번기가 시작된다. 보리 베기와 모내기가 겹치기 때문에 과거 보리 농사를 많이 짓는 남쪽에서는 “발등에 오줌 싼다”는 말도 있다. 과수 작물로는 매실, 밭작물로는 완두콩, 난지형 마늘과 양파를 수확하고, 고구마·참깨 등을 심는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