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터공공 언어 바로 쓰기

올바른 공문서 작성법 문서의 본문 구성, ‘끝’ 표시

공문서 작성 시 자주 틀리는 ‘끝’ 표시에 대해 올바른 예시를 소개한다.
글 김나림 자료 국립국어원 <한눈에 알아보는 공공언어 바로쓰기>

문서의 ‘끝’ 표시

1) 본문 내용의 마지막 글자에서 한 글자(2타) 띄우고 ‘끝’ 표시를 한다.

예시

…… 주시기 바랍니다.∨∨끝.
2) 첨부물이 있으면 붙임 표시문 다음에 한 글자(2타) 띄우고 ‘끝’ 표시를 한다.

예시

붙임 1. 서식 승인 목록 1부.
2. 승인 서식 2부.∨∨끝.
3) 본문 또는 붙임 표시문이 오른쪽 한계선에서 끝났을 경우, 그다음 줄의 왼쪽 기본선에서 한 글자(2타) 띄우고 ‘끝’ 표시를 한다.

예시

(본문 내용) ………………………… 주시기 바랍니다.
∨∨끝.
4) 본문이 표로 끝나는 경우

예시

가) 표의 마지막 칸까지 작성되는 경우: 표 아래 왼쪽 기본선에서 한 글자 띄우고 ‘끝’ 표시
응시 번호 성명 생년월일 주소
10 김○○ 1980. 3. 8. 서울시 종로구 ○○로 12
21 박○○ 1982. 5. 1. 부산시 서구 ○○로 5
∨∨끝.
나) 표의 중간에서 기재 사항이 끝나는 경우: ‘끝’ 표시를 하지 않고 마지막으로 작성된 칸의 다음 칸에 ‘이하 빈칸’ 표시
응시 번호 성명 생년월일 주소
10 김○○ 1980. 3. 8. 서울시 종로구 ○○로 12
이하 빈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