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동은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로, 이날부터 겨울에 들어선다고 해 ‘설 립(立)’, ‘겨울 동(冬)’ 자를 쓴다. 음력 10월에 드는데 양력으로는 11월 7~8일 무렵이며, 올해는 11월 7일이다.
낙엽이 쌓이고 찬 바람이 부는 이때,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땅속으로 들어가고 사람들은 겨울 채비를 시작한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김장이다. 입동 무렵에는 밭에서 무와 배추를 뽑아 김장을 한다. 입동 전후 5일 내외에 담가야 맛이 좋다. 기온이 너무 높으면 김치가 빨리 익고, 기온이 낮으면 무와 배추가 얼어 제맛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날씨가 더 추워지면 일하기 힘들어지므로 “입동이 지나면 김장도 해야 한다”는 속담도 전해진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이 시기가 조금씩 늦어지고 있지만, 이즈음에는 여전히 시장에 무와 배추가 가득 쌓이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추수하면서 들판에 놓아두었던 볏짚도 겨울나기에 유용하게 활용했다. 땅에 김칫독을 묻고 짚방석을 덮은 것이 그중 하나다. 방한은 물론 볏짚에서 잘 번식하는 미생물로 김치를 숙성시키려는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풍습이다. 볏짚을 썰어 쇠죽을 쑤기도 했다. 겨울철에는 풀이 말라 소에게 줄 다른 먹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추운 겨울을 대비해 지붕에 볏짚 등을 엮어 만든 이엉을 얹었다. 또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콩으로 메주를 쑤어 볏짚으로 묶어 걸어둔 것도 이 무렵이다.
입동 즈음에는 지역마다 농사와 날씨를 점치는 ‘입동보기’ 풍속도 있었다. 충청도에서는 입동 때 보리잎이 가위처럼
2개가 나야 그해 보리 풍년이 든다 했고, 경상남도 밀양에서는 입동에 날아오는 갈까마귀의 흰 배가 보이면 이듬해 목화 농사가 잘된다고 내다봤다. 제주도에서는 입동 날 날씨가 따뜻하지 않으면 그해 겨울바람이 심하게 분다 했고, 전라남도에서도 입동 때 날씨로 겨울 추위를 가늠했다.
낙엽이 쌓이고 찬 바람이 부는 이때,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땅속으로 들어가고 사람들은 겨울 채비를 시작한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김장이다. 입동 무렵에는 밭에서 무와 배추를 뽑아 김장을 한다. 입동 전후 5일 내외에 담가야 맛이 좋다. 기온이 너무 높으면 김치가 빨리 익고, 기온이 낮으면 무와 배추가 얼어 제맛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날씨가 더 추워지면 일하기 힘들어지므로 “입동이 지나면 김장도 해야 한다”는 속담도 전해진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이 시기가 조금씩 늦어지고 있지만, 이즈음에는 여전히 시장에 무와 배추가 가득 쌓이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추수하면서 들판에 놓아두었던 볏짚도 겨울나기에 유용하게 활용했다. 땅에 김칫독을 묻고 짚방석을 덮은 것이 그중 하나다. 방한은 물론 볏짚에서 잘 번식하는 미생물로 김치를 숙성시키려는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풍습이다. 볏짚을 썰어 쇠죽을 쑤기도 했다. 겨울철에는 풀이 말라 소에게 줄 다른 먹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추운 겨울을 대비해 지붕에 볏짚 등을 엮어 만든 이엉을 얹었다. 또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콩으로 메주를 쑤어 볏짚으로 묶어 걸어둔 것도 이 무렵이다.
입동 즈음에는 지역마다 농사와 날씨를 점치는 ‘입동보기’ 풍속도 있었다. 충청도에서는 입동 때 보리잎이 가위처럼
2개가 나야 그해 보리 풍년이 든다 했고, 경상남도 밀양에서는 입동에 날아오는 갈까마귀의 흰 배가 보이면 이듬해 목화 농사가 잘된다고 내다봤다. 제주도에서는 입동 날 날씨가 따뜻하지 않으면 그해 겨울바람이 심하게 분다 했고, 전라남도에서도 입동 때 날씨로 겨울 추위를 가늠했다.
입동에 준비하는 농사
“입동 전 보리씨에 흙먼지만 날려주소”라는 말이 있다. 보리 파종의 한계 시기를 강조한 속담으로, 월동 준비로 아무리 바빠도 입동 전에는 보리 파종을 마쳐야 한다는 말이다. 입동이 지나 파종을 하면 추위에 해를 입기 쉽기 때문이다. 또 이 무렵에는 수확한 무나 배추가 냉해를 입지 않도록 구덩이를 파고 저장해두기도 했으며, 월동 작물로 양파와 마늘을 심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