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기반 SOC 사업 방향 제시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식량 주권 확보와 농업인 경영 안정을 앞당길 ‘농업 기반 사회간접자본(SOC)사업’을 연구한다. 미래농어촌연구실 농어촌정책연구부는 농업 내외부 환경과 정책 변화를 검토해 사업 개편 필요성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 사업 방향을 제시한다. 미래농업연구부에서는 미래 농업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KRC가 보유한 농업기반시설을 활용해 KRC의 신재생에너지 자립형 농업 모델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팜을 통한 데이터 기반 농업의 확대 방안과 스마트팜에 필요한 에너지 절감 문제를 연구한다.
기후변화적응연구부는 환경친화적 농어촌 환경 조성을 위해 농업비점오염 저감대책 방안을 연구하고 농업용 저수지 및 담수호의 수질 보전·개선과 녹조를 제어하는 기술도 고민한다.

스마트팜 기반 농업 확대 방안 연구 진행

녹조제거장치 하마봇
영농형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농어업 이슈와 연구를 소개하는 <농어촌과 환경>도 발간하고 있다. 올 상반기 158호에는 ‘영농형 태양광 현황과 공사사업 전망’을 발표했다. 특히 KRC는 지난 5월 농촌 공간 중앙지원기관으로 지정된, 농촌 공간 내 태양광을 주도적으로 보급하는 기관이다. 농어촌연구원이 관련 연구를 추진 중이며, 영농형 태양광 시설에 대한 설비·시공 및 유지보수 기술 기준 확보, 보급 활성화 정책의 구체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영농형 태양광의 체계적 확산을 지원한다.

영농형 태양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