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랑이는 바람 따라 신록이 나풀거리고, 그 사이사이 햇볕이 부서지는 때. 온 세상이 점점 여름빛으로 물들어 가는 이 시기, 우연히 달력을 보면 놀랍게도 입하 무렵임을 알게 된다. 들 ‘입(立)’, 여름 ‘하(夏)’, ‘여름이 든다’는 뜻의 입하. 여름이 시작되니 햇살은 따사롭고, 대기는 변덕 없이 온화해진다. 개구리 우는 소리가 들리고, 지렁이들이 꿈틀거리며, 밭에는 참외꽃이 피기 시작한다.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입하는 음력으로는 4월에 들고, 양력으로는 5월 5~6일 즈음인데, 올해는 5월 5일 어린이날이다. 마치 어린이처럼 초목이 싱그럽게 자라기 때문에 농촌은 부쩍 바빠진다. 농작물이 잘 자라는 만큼 해충과 잡초도 번성해 농가에서는 병충해 방제와 풀 뽑기에 분주하다. 또 밭의 보리 이삭이 패기 시작한다. 그래서 입하를 다른 말로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의 맥량(麥凉), 맥추(麥秋)라고도 한다.
묘판에는 볍씨 싹이 터 모가 한창 자란다. 입하가 다가오면 모심기가 시작되는 이유다. 이맘때는 농가 여기저기에서 써레(갈아놓은 논바닥을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를 싣고 나온다고 해 ‘입하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라는 말도 있다.
그사이 집 안에서는 부인들이 누에치기에 한창이었다. 누에를 쳐서 견직물의 원료인 고치를 생산했는데, 잠업은 오랜 기간 이어져 내려오며 농가의 부업으로 활용되었고, 농촌 경제에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고치실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도 많았다. 누에똥은 가축의 사료, 식물의 발근촉진제 등으로도 이용했고, 제사(製絲) 과정에서 나오는 번데기는 사람이 먹거나 가축과 양어의 사료 등으로도 쓰였다.
한편, 농가에서는 쑥을 이용한 별미로 ‘쑥버무리(쑥설기)’를 만들어 먹었다. 쑥은 이른 봄부터 모습을 드러내지만 여름에도 쇠지 않은 쑥을 캘 수 있었고, 아직 햇곡식이 익지 않은 춘궁기의 구황작물로 옛 농민들의 배고픔을 달래주었다. 가난한 농민들의 애환이 담긴 떡에서, 이제는 우리의 별식이 된 ‘시절 음식’. 봄의 향과 여름의 맛이 모두 담긴 쑥버무리를 먹으며 올해 첫여름을 맞이해 보는 건 어떨까.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입하는 음력으로는 4월에 들고, 양력으로는 5월 5~6일 즈음인데, 올해는 5월 5일 어린이날이다. 마치 어린이처럼 초목이 싱그럽게 자라기 때문에 농촌은 부쩍 바빠진다. 농작물이 잘 자라는 만큼 해충과 잡초도 번성해 농가에서는 병충해 방제와 풀 뽑기에 분주하다. 또 밭의 보리 이삭이 패기 시작한다. 그래서 입하를 다른 말로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의 맥량(麥凉), 맥추(麥秋)라고도 한다.
묘판에는 볍씨 싹이 터 모가 한창 자란다. 입하가 다가오면 모심기가 시작되는 이유다. 이맘때는 농가 여기저기에서 써레(갈아놓은 논바닥을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를 싣고 나온다고 해 ‘입하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라는 말도 있다.
그사이 집 안에서는 부인들이 누에치기에 한창이었다. 누에를 쳐서 견직물의 원료인 고치를 생산했는데, 잠업은 오랜 기간 이어져 내려오며 농가의 부업으로 활용되었고, 농촌 경제에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고치실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도 많았다. 누에똥은 가축의 사료, 식물의 발근촉진제 등으로도 이용했고, 제사(製絲) 과정에서 나오는 번데기는 사람이 먹거나 가축과 양어의 사료 등으로도 쓰였다.
한편, 농가에서는 쑥을 이용한 별미로 ‘쑥버무리(쑥설기)’를 만들어 먹었다. 쑥은 이른 봄부터 모습을 드러내지만 여름에도 쇠지 않은 쑥을 캘 수 있었고, 아직 햇곡식이 익지 않은 춘궁기의 구황작물로 옛 농민들의 배고픔을 달래주었다. 가난한 농민들의 애환이 담긴 떡에서, 이제는 우리의 별식이 된 ‘시절 음식’. 봄의 향과 여름의 맛이 모두 담긴 쑥버무리를 먹으며 올해 첫여름을 맞이해 보는 건 어떨까.

입하에 준비하는 농사
본격적으로 모내기를 하는 시기. 못자리에 뿌린 볍씨가 자라 모가 되면 이를 논에 옮겨 심는데, 모판이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과습하면 모가 고르지 못하게 자랄 수 있다. 그러므로 미리미리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대로 준비하면 한 해 농사는 두려울 게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