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네이버 블로그 바로가기 한국농어촌공사 유튜브 바로기기 한국농어촌공사 페이스북 바로가기 한국농어촌공사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행복한 농어촌 함께하는 KRC

KRC 우리는

지하수 관리사업,

지속 가능한 청정 지하수 활용을 도모하다!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어촌 지하수의 지속적인 개발과 이용을 도모하기 위한 ‘지하수자원 관리사업’과 육상양식어가에 청정 지하해수 공급을 위한 ‘양식장 용수 관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농어촌지역의 생활환경 개선 및 농업용 지하수자원 활용성 확대를 위한 ‘지하수 수탁사업’과 ‘지하수댐 설치사업’, ‘시설농업단지 지하수함양 사업’도 함께 추진해나가고 있다.

1. 지하수자원 관리사업

사업개요

기후변화 및 환경변화에 따른 가뭄, 지하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지반침하, 수질오염, 지하수 장애 등 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전국 457개 농촌용수구역에 대한 지하수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지하수 이용 및 관리대책을 수립합니다. 뿐만 아니라 해안·도서 지역 농경지에 관측정을 설치하고 해수침투 모니터링을 수행해 염해 피해를 사전 예방합니다.

사업내용
구분 농촌지하수 관리 해수침투 조사
사업내용 농촌 지하수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환경오염과 수질·수량 등 장애현상 예방을 위한 보전·관리계획 수립s 해안 및 도서지방의 지하수 개발·이용에 따른 해수침투 영향을 모니터링(자동관측공 설치) 하여 염해 피해 등 사전 예방대책 강구
사업기간 ’01∼계속 ’91∼계속
사업규모 457지구 388개소
지원조건 민간보조, 국고 100%
사업시행주체 한국농어촌공사
  • 2001년부터 지하수자원관리사업 보고서와 수맥조사자료 등 공유를 위해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https://www.groundwater.or.kr) 구축·운영

지하수자료 관리현황(2021년 말 기준)
구분 농촌 지하수 관리사업 성과 수맥조사 (2006년까지 85%완료) 해수침투 조사 농업용 공공관정
관리 자료 342지구 (126시·군 완료) 7,763지구 (119천ha) 302공 38,779공
  • 조사관정
  • 오염원
  • 수위/수질 등
  • 2006년까지 85%완료
  • 시추조사공
  • 수맥도 등
  • 수맥도 등
  • 관측자료 (1991~2021)
  • 지자체·공사 관리관정
  •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을 통한 농어촌 지하수 정보화 구축
  • 농촌지하수관리관측망 자동 관측으로 실시간 관측정보 제공
지하수자원 관리 향후 추진 방향 ⇒ 농촌 지하수 스마트관리·디지털전환
  • 수자원확보가 어려운 도서·산간 등 물 부족 지역에 대하여 지표수와 연계한 농업용수 공급 확대 방안 마련
    * (’22~)도서·해안·산간 농업용수 공급 필요 지역(105지구) 지하수 조사 시행
  • ’24년부터 농업용수 공급 필요 천수답 지역 및 가뭄 대비에 취약한 밭작물 재배지역에 들녘 단위 순환형 수자원 확보 추진
  • 지하수관측망을 활용한 용수구역별 가뭄 예경보시스템 구축 및 수질 측정, 이용량 계측 등 빅데이터를 기반 한 스마트관리시스템 전환
  • 상시 가뭄 대응을 위한 기존 농업용 공공관정의 활용성 증진

2. 양식장 용수 관리사업

사업개요

해안·도서 지역 육상양식(종묘)장 주변 지역에 대한 탐사, 시추조사를 실시하여 지하해수 개발 가능 적지 선정 및 개발·이용 방안을 제시하고, 지하해수 활용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통해 양식어가 소득 증대 및 양식어업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 지하해수는? 해안가 지하 지층에 분포하는 청정한 (염)지하수로서, 연중 일정한 수온(14∼18℃)과 수질을 가짐

  • 지하수와 지하해수
중점추진계획
  • 안정적인 양식장 용수 확보를 위한 지하해수 수리변동성 장기 관측
    • 인계하여 이용 중인 지하해수 조사공에 대한 수온·염도 등 계절적 변화 장기(2∼3년) 관측 시스템설치· 정보 분석을 통해 수질 안정성 평가
기대효과
  • 지하해수 개발·이용으로 지속 가능한 저탄소 녹색 양식산업에 기여
  •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수산물 피해 예방
  • 청정 수산물 생산 및 안전먹거리 공급

3. 지하수 수탁사업

사업개요

지자체의 밭 용수, 논 용수, 생활용수 등 지하수 조사·개발과 지역 지하수 관리계획 및 공공관정 관리 등을 위탁받아 시행합니다.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저수지, 방조제에 대한 정밀점검 및 보수 등을 위탁받아 시행합니다.

연도별 지하수 개발현황
  • ’69년 지하수개발공사 창립 이래 ’21년까지 20,449공(3,900천톤/일)의 지하수를 개발하여 공급함
  • 지하수 개발 현황(1970~2021년)
구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개소수(공) 20,449 2,355 2,394 2,085 2,427 2,520 1,452 3,849 2,886 481
지하수량 (천톤/일) 3,900 356 311 475 408 501 244 778 429 398
지하수 관련 전문기술 지원으로 공익적 역할 수행 노력
  • 『지하수지질 기술지원단』 운영으로 지하수지질 분야 기술지원
    • 지원실적 : ’07∼’22년까지 총 34,725건(연평균 2,170건) 기술지원 시행
    • 지원내용 : 기술 상담, 시설점검, 영향조사 심의 등

4. 지하수댐 설치사업

사업개요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 발생 빈도 및 물 수요량의 지속적 증가로 지표수의 공급능력이 한계에 직면하였습니다. 이에 대용량 지하수 확보 시설 설치로 농업용 지하수자원 활용성을 확대해 나갑니다.

<지하수댐 모식도 및 설치 단면>

<지하수댐 모식도 및 설치 단면>

지하수댐 현황
  • (국내)

    농업용수 10개년 개발계획(1982~1991)에 따라 시범사업으로 경북 상주시에 이안 지하수댐(1984)을 시작으로 현재 7개소가 설치되어 152,710㎥/일 공급 중

  • (국외)

    일본, 중국, 인도, 에티오피아 등 해외에서는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지하댐을 개발하여 생활용수, 농업용수로 활용하고 있고, 최근에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적극 추진 중에 있음

지하수댐 활용 가뭄 극복 사례
  • (옥성지하수댐)

    17년 6월 가뭄 시 주요 수원인 동천취입보(유구천)는 용수 공급이 어려운 상황이나, 주변 농경지는 지하수댐을 통해 농업용수를 공급받아 원활한 영농활동 유지

(a) 동천취입보 전경(수원 고갈)

(a) 동천취입보 전경(수원 고갈)

(b) 주변 농경지 전경(지하수댐 용수공급)

(b) 주변 농경지 전경(지하수댐 용수공급)

효과분석 결과
구분 연간 4~6월(가뭄 시)
필요수량 1,787 1,072
동천취입보(지표수) 1,051(59%) 412(38%)
옥성지하수댐(지하수) 831(46%) 590(55%)

※ ( )내서는 필요수량 대비 공급량 비중

5. 시설농업단지 지하수함양사업

사업개요

대규모 집단화된 시설농업단지에서 농업생산기반시설 개량 및 지하수 함양시설 확충을 통한 안정적 용수 공급 기반 조성으로 농업재해를 예방하고 농업경쟁력을 높입니다.

사업내용
  • 수질·수량·수온이 적합한 강변여과수를 물이 부족한 지층에 주입
  • 고갈된 지하수위·수량 회복 및 시설농업단지의 생육·난방용수 공급
  • 주요시설: 양수정 → 송수관로 → 집수 & 여과 → 송수관로 → 함양시설
추진실적
  • (진주단목)

    국내 최초 대규모 들녘(200ha), 지하수 인공함양사업 마무리
    - 위치: 경남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유곡리, 와룡리 지내(200ha)

  • (하동북방)

    지하수 인공함양 신규 지구 선정을 위한 사전 조사 및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농어촌형 저영향 개발(LID) 시설개발
    - 위치: 경남 하동군 옥종면 북방리 지내(150ha)

  • (하동북방)

    지하수 인공함양 신규 지구 선정을 위한 사전 조사 및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농어촌형 저영향 개발(LID) 시설개발
    - 위치: 경남 하동군 옥종면 북방리 지내(150ha)

  • (특허등록)

    지하수인공함양 사업 분야 기술력 확보

특허명 주요내용 모식도
지표침투형 지하수 인공함양시스템 지표(수로형)에 함양시설 설치 시, 수로바닥에 막힘 물질인 세사의 침전을 위한 요철과 함양수 유입부로부터 막힘 물질 유입을 방지하며 지하수위의 조절로 과잉함양 방지를 위한 시스템
지하수함양용수 모래제거 시스템 함양원수 내 막힘 원인물질인 모래를 침전·자동 배출하여 유지관리 인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기대효과
  • ‌농업용수 공급 패러다임 전환을 통한 농업 경쟁력 제고
  • 안정적 용수공급 체계 구축으로 사회적 후생 증대 기여 및 미래 성장 동력 활용

편집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