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네이버 블로그 바로가기 한국농어촌공사 유튜브 바로기기 한국농어촌공사 페이스북 바로가기 한국농어촌공사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삶면의 블렌딩

농어촌 체크인

색과 향이 있는 직업 한방꽃차소믈리에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심신의 안정과 건강을 위해 차를 마셨다. 한방꽃차소믈리에는 우리가 차를 왜, 어떻게 마셔야 하는지를 잘 알고, 우리나라 차를 연구하며 우리나라의 꽃차, 잎차, 뿌리차, 열매차, 가지차 등을 제다한다. 꽃을 보고 자연에 감사하며 꽃차를 통해 나와 상대방의 마음을 치유하고 정화한다.

한방꽃차소믈리에란?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식용 가능한 모든 약용식물과 야생화 식물의 뿌리, 줄기, 잎, 열매, 씨앗 등을 특성에 맞게 제다하여 만든 건강음료, 기능성음료, 기호음료로 우리의 몸과 마음에 도움이 되는 차를 ‘한방꽃차’라 한다. 그리고 이 한방꽃차의 색, 향, 맛을 평가하고 꽃차의 성분과 효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호에 맞는 꽃차를 추천해 주며 올바른 차 생활이 지속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전문가를 ‘한방꽃차소믈리에’라고 한다.

한방꽃차소믈리에가 하는 일은?

봄에는 매화, 생강나무, 목련, 진달래, 복숭아꽃, 팬지, 금어초, 쑥 등이 재료가 된다. 재료마다 모양도 색깔도 향도 다르지만 재료에 맞는 제다 방법으로 수제꽃차를 만든다. 꽃차는 다양성 측면에서 선택의 폭이 넓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점 때문에 처음 입문자는 어디에 기준을 두고 선택해야 할지 몰라 선택의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한다. 그래서 한방꽃차소믈리에는 차의 종류별로 적합한 우림방법이나 차살림의 선택, 꽃차의 보관과 위생, 꽃차 분별, 찻자리 연출 등에 대해 익혀야 하고, 건강음료, 기능성음료, 기호음료의 가치 또한 학습해야 한다.

한방꽃차소믈리에가 되고 싶다면?

필자의 경우는 ㈜한국한방꽃차협회 소속으로 해당 기관에서는 ‘한방꽃차소믈리에’라는 민간 자격증을 발급하고 있다. 해당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협회와 연계된 교육기관에서 1년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이론에 대한 필기시험과 실습일지를 작성하여 협회에 제출해야 한다. 자격증 종류는 초급, 3급, 2급, 1급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시험은 1년에 4회 진행한다.

1급 자격을 취득한 사람에 한하여 협회 주관 워크숍 참석 후 강사로 활동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사진
한방꽃차소믈리에 교육과정과 교육의 장점을 소개한다면?

야생화와 식용꽃을 재료로 꽃차 제다 교육을 하여 꽃차소믈리에를 양성하는 과정으로 꽃차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실습, 한의학적 효능에 대한 정보를 폭넓게 배운다. 또 계절마다 새로운 재료가 되는 식물의 꽃, 잎, 뿌리, 열매, 가지 등의 제다법을 익힌다.

꽃차는 누구나 싶게 배울 수 있고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기 때문에 꽃을 사랑하고 건강차에 관심 있는 학생, 주부, 직장인, 귀농·귀촌인, 몸이 불편하거나 연세가 있으신 분들 모두 도전해 볼 수 있는 분야다.

꽃차에 대해 배우면서 향기 성분에 의한 마음의 안정과 실습 후 성취감을 가질 수 있고, 꽃차소믈리에 과정 수료 후 취미, 판매, 사범 등 원하는 방식으로 활동할 수 있다. 경력 단절이나 정년 이후 꽃차라는 아이템으로 창업을 할 수도 있고, 강사 활동을 할 수도 있으며 꽃차를 직접 재배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한방꽃차소믈리에란 직업의 장점이나 특징은?

한방꽃차소믈리에는 식용 가능한 재료로 다양하게 차를 만들 수 있으며, 재료에 대한 출처가 명확하여 마실 거리에 대한 믿음을 갖게 한다.

잘 만들어진 꽃차를 올바른 차 우림법으로 정성껏 우려서 마시는 것,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꽃차 산업의 중심에 있는 꽃차소믈리에의 손끝에서 나오는 차 한 잔은 도시·농촌 간 상생의 매개체로서의 의미도 크다.

5월에 어울리는 꽃차를 추천한다면?

5월은 장미꽃차를 마시기 좋은 계절이다. 향기로운 장미꽃차는 긴장 완화, 혈액순환, 신경안정과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되는 성분과 비타민A, C 함량이 높아 감기 예방과 피로 해소에 도움이 된다. 카페인이 없고 자극적이지 않아 늦은 시간이나 빈속에 마시기에도 부담이 없지만 임산부는 주의해야 한다.

꽃차의 기능성으로 볼 때 봄철 미세먼지와 황사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졌거나 기관지가 약한 분들에게는 목련차, 팬지차, 산죽차, 작두콩차를 추천한다.

꽃차 제대로 즐기는 법은?

꽃차는 맛과 향이 강하지 않아 물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먼저 생수나 정수된 물을 전기포트에 넣고 95도 이상 끓인다. 다관이나 유리 찻주전자에 꽃차를 넣은 다음 끓인 물을 넣고 재료에 따라 30초에서 1분 정도 우린다. 꽃차의 색이 다 빠질 때까지 2~3회 반복해서 우려 향과 맛을 음미하며 즐기면 좋다.

사진
표2) 농어촌 개발 관련분야
종류 재료
꽃차 생강나무, 팬지, 목련, 진달래, 매화, 아까시나무, 장미, 당귀, 차꽃 칡, 꽃사과, 금잔화, 스토크, 마가렛, 카네이션, 박태기꽃, 꽃복숭아, 해당화, 해바라기, 무궁화, 맨드라미, 구절초, 뚱딴지, 국화, 메리골드, 동백 등
잎차 조릿대, 생강나무잎, 감잎, 고욤나무잎, 도라지잎, 모시잎, 연잎, 쑥잎, 뽕잎, 당귀잎, 블루베리잎, 자소엽, 차나무잎 등
뿌리차 냉이, 칡, 연근, 당귀, 민들레, 도라지, 우엉, 비트, 무, 당근, 돼지감자, 초석잠, 인삼, 더덕, 생강 등
줄기차 겨우살이, 생강나무 줄기, 구찌뽕 등
열매차 여주, 작두콩, 산사, 구기자, 산수유, 결명자, 영실, 청귤, 진귤, 진생베리, 호박, 구찌뽕 등
곡물차 현미, 보리, 옥수수, 율무, 메밀, 팥 등
버섯차 표고버섯, 송이버섯, 영지버섯, 상황버섯, 팽이버섯 등
해조류차 번행초, 함초, 다시마 등
과실차 대추, 사과, 모과, 귤, 딸기, 레몬, 유자 등

한방꽃차 식물재료는 한(寒)·열(熱)·온(溫)·량(凉) 사기(四氣)성질과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평(平)이한 성질을 내재하고 있다. 사기(四氣)의 성질에 따라 분류된 한방꽃차는 다음과 같다.

사기 종류
한(寒) 칡차, 연꽃차, 뽕잎차, 패랭이꽃차, 용담꽃차, 조릿대차, 진달래꽃차
열(熱) 목련꽃차, 생강나무꽃차, 계피잎차, 인삼차
온(溫) 매화차, 대추차, 생강차, 쑥차, 자소엽
량(凉) 맨드라미꽃차, 국화차, 박하차, 팬지꽃차, 녹차, 무궁화차
평(平) 장미꽃차, 도라지차, 복숭아꽃차, 겨우살이차, 구기자차

조미진(한방꽃차소믈리에) 사진 조성진 사진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