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면의 블렌딩

건강 리포트

여름철 식중독,
그 원인과 예방법은?

여름철 가장 많이 발생해서 조심해야 할 질환이 있다면 바로 식중독이다. 식중독은 상한 음식을 먹어 복통, 설사, 구토 같은 급성 위장관 증세가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식중독은 상한 음식을 먹은 후 72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만약 그 이후에 비슷한 증세가 나타날 때는 다른 원인에 의한 장관(腸管) 감염으로 볼 수 있다.

독소형과 감염형으로 구분되는 세균성 식중독

세균성 식중독은 ‘독소형 식중독’과 ‘감염형 식중독’으로 구분된다. 이 중 독소형 식중독은 다시 체외에서 생산된 독소에 의한 것과 체내에 들어와서 생산된 독소에 의한 것으로 분류가 된다. 외부에서 세균에 의해 만들어진 독소형 식중독은 통상적인 조리온도에서 끓여도 세균이 죽지만, 독소는 파괴되지 않아 식중독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독소형 식중독에는 포도상구균,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 등이 있다.
감염형 식중독은 독소형 식중독보다 잠복기가 좀 더 길다. 이와 함께 열이 나는 등의 전신 증상이 있고 대변에 섞인 백혈구나 혈액 등을 조사해 보면 염증성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감염성 식중독에는 살모넬라 식중독, 이질, 병원 대장균 식중독, 비브리오 패혈증 등이 있다.
증상이 가장 빨리 나타나는 건 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이다. 포도상구균은 사람의 피부에 기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세균이 음식 취급자의 손이나 코점막 등에 붙어 있다가, 재채기나 오염된 손을 통해 음식에 옮겨진 후 음식물이 실온에서 방치돼 균이 증식하면 장독소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그 오염된 음식을 먹으면 식중독에 걸리게 된다. 식중독이 잘 일어날 수 있는 식품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수분이 많은 크림, 샐러드, 육류(햄 등의 돼지고기 제품) 등이다. 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의 특징은 이미 음식물 섭취 이전에 독소가 형성되어 있어 잠복기가 2~4시간으로 짧다는 것이다. 즉 음식을 먹은 후 2시간이면 복통, 구토, 설사 등 식중독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비브리오 장염 식중독은 균이 있는 어패류를 먹었을 때 생긴다. 대개 10~18시간 이내에 급성 설사 증상이 나타나며 상복부가 아프고 심한 설사가 난다. 일반적으로 5~11월에 발생하며, 특히 7~9월에 자주 발생한다.
살모넬라 식중독도 대표적으로 잘 생기는 원인균이다. 이 균에 오염된 육류나 계란 등을 먹은 지 8~48시간 후에 발병한다. 주로 여름과 가을에 오염된 음식을 먹은 5세 이하 소아와 60세 이상 노인층에서 발생률이 높다. 배꼽 주변이 아프고 설사가 나며, 38도 전후의 미열이 생기기도 한다.

안전한 여름을 위한 식중독 예방법

식중독 예방의 지름길은 음식의 선택·조리·보관 과정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다. 세균은 주로 섭씨 0~60℃에서 번식한다. 저장은 4℃ 이하에서, 가열은 60℃ 이상에서 해야 한다. 예외적으로 포도상구균, 바실루스균, 클로스트리디움균의 독소는 가열해도 증식이 가능하다. 조리된 음식을 섭취하되 가능한 즉시 먹는 게 좋다. 철저한 개인위생도 중요하다. 외출하거나 더러운 것을 만지거나 화장실에 다녀온 뒤에는 손 씻기가 필수다. 또 손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음식을 조리해선 안 된다. 황색포도상구균에 오염돼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중독 사고가 빈발하는 여름에는 지하수나 약수, 우물물을 마시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수돗물과 달리 염소 소독을 안 한 상태이므로 각종 식중독균 오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여름철에 조심해야 할 대표음식

생선회

장염 비브리오균 또는 생선을 손질한 칼이나 도마에 의한 교차오염으로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개

조개 식중독은 장염 비브리오균의 오염에 의한 것이 많고 고온 다습한 날씨로 조개류가 금방 상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햄, 치즈, 소시지

보툴리누스균과 병원성 대장균 때문인데,보툴리누스균은 가공육, 가공식품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진한(동아일보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