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면의 블렌딩

농업 트렌드 이슈

농업도 이제는 ESG 경영이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 위기, 환경오염 등 동시다발적 위기와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ESG 경영에 대한 관심 또한 계속 커지고 있다. 유럽 등 일부 국가는 ESG 관련 법안을 도입하는 등 기업들의 ESG 경영 도입에 대한 법적 의무를 강화하는 추세에 있기도 하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ESG 경영에 주목하고 있다.

사진
ESG 경영이란

ESG는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의 영문 머리글자를 딴 용어로 ESG 경영은 기업이 경영활동에서 친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개선 등을 중시하는 전략을 말한다. 최근 모든 산업 부문에서 화두로 떠오르는 것이 ‘ESG 경영’인데, 우리 농업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기후와 환경문제에 가장 민감할 수밖에 없는 대표적인 산업이 바로 농업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ESG 확대가 농업에 생산비 증가 등 위기 요인을 가져다줄 수 있지만 ESG의 친환경 지표를 잘 활용하면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탄소 감축을 위해 화석연료, 화학비료 등 투입재 소비량을 줄이면 생산성과 수익성이 떨어져 가격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겠으나, 이는 친환경, 기후 위기 극복 등에 부합하는 상품이라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수 있다는 가치소비 경향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농촌 맞춤형 환경 경영 전략은 ‘저탄소 농업’

농업 분야에서의 ESG 경영, 그중에서도 ‘환경(E)’에 해당하는 전략으로는 ‘저탄소 농업’이 꼽힌다. 저탄소 농업은 농축산물 생산과정에 투입하는 농자재와 에너지를 줄여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는 것을 말한다.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이 대표적인 저탄소 농업 정책에 해당하는데, 이는 농가가 자발적으로 저탄소 농업 기술을 적용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면 정부가 감축량을 인증하고 톤당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식이다.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뿐만 아니라 ‘탄소배출거래제도’와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 사업’도 ESG 틀 안에서 진행되고 있다.
먼저 탄소배출거래제도는 정부가 기업에 배출 가능한 용량을 부여하고 남거나 부족한 배출허용량(배출권)을 사고팔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말하는데, ‘농업 부문 배출권거래제 외부 사업’은 2015년 1월부터 시행됐다.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 사업은 친환경(유기농, 무농약) 또는 GAP 사전 인증을 거친 농산물을 대상으로 저탄소 농업기술을 적용하여 생산한 농축산물에 인증 마크를 부여하는 국가 식품 인증 제도로 이를 통해 농업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고 소비자에게 윤리적 소비 선택권을 제공한다.

ESG 경영과 함께 주목받는 ‘사회적 농업’

​농촌형 ‘사회(S)’ 해당하는 활동으로는 ‘사회적 농업’이 있다. 사회적 농업은 농산물을 생산하는 기본적인 농업 활동 과정에서 장애인, 노인 등 사회적 약자의 사회 적응과 자립을 꾀하고 농촌에서 함께 살아가는 활동을 의미한다. 참여자에게 정서적 안정과 위로를 준다는 의미에서 ‘치유농업’으로도 불린다.
선진국의 경우 농업과 복지 정책당국이 협력해 사회적 농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관련 법을 제정해 정책적인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케어팜(Care Farm)의 경우에는 1,000개가 넘는 조직으로 성장했는데, 네덜란드의 농업 관련 대학들은 케어팜을 접목한 학위과정을 개설해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그렇다면 농촌 맞춤형 ‘지배구조(G)’에 해당하는 키워드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공정한 절차 마련’이다. 같은 맥락에서 한국농어촌공사는 ‘지배구조(G)’의 핵심 내용을 ‘참여와 협치에 의한 투명한 의사결정’으로 삼고 ESG 비전을 실현해 가고 있다.

정리 편집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