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자원개발원은 공사가 조성·정비한 생산기반시설, 농촌마을을 토대로 농산물 생산·가공·유통, 농촌관광 등의 농산업을 고도화하고, 농촌 공동체의 복원과 사회적농업 활동 지원을 통해 농촌에 부족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농업생산기반정비 및 지역개발
농업 생산성↑ 농촌 가치↑
농산업 경쟁력 강화 및 생활여건 개선
公社사업 사후 성과 관리에 기여
농촌관광 활성화,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농촌공동체 활성화
농업 생산성↑ 농촌 가치↑
“농산업 발전과 농촌 공동체 활성화”
농촌관광 활성화 지원사업
농촌관광 콘텐츠 발굴, 현장 운영 주체 역량 강화, 서비스 품질 개선, 홍보·마케팅 지원을 통한 농촌 여행 경쟁력 강화로 관광객 유치
“지역경제 활력 증진”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지원사업
농촌지역 부존자원(1차)을 이용, 식품가공 등 제조업(2차)과 유통·관광 등 서비스업(3차)을 융·복합하여 농촌 부가가치 창출 지원
“농촌 성장 동력과 일자리 창출”
농촌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농촌재능나눔활동, 농촌형 교통 모델사업, 사회적농업 육성을 통해 농촌지역 생활 편의 증진과 포용적 복지 실현의 토대 마련
“농촌주민 삶의 질 향상”
1-1. 농촌관광 콘텐츠 개발
농촌다움과 지역다움을 기반으로 농촌여행의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1-2. 농촌관광 서비스 안전 강화
농촌관광 서비스에 대한 안전을 강화합니다.
1-3. 농촌관광 등급 결정
농촌관광사업의 시설 및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여 등급을 부여합니다.
농촌관광 이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경영체의 자발적인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유도하기 위하여 농촌체험휴양마을, 관광농원, 농어촌민박 등을 대상으로 품질을 심사하고 등급을 결정
달빛무월마을
수미마을
1-4. 농촌관광 홍보·마케팅
농촌관광 홍보 및 마케팅을 통해 국·내외 방문객을 유치합니다.
2-1. 농촌융복합산업 인증사업자 관리
“경쟁력을 갖춘 사업자 육성을 통한 농촌융복합산업 발전 저변 확대”
혜택
역량강화 지원
예비인증사업자, 인증사업자 분야별 성장·단계별 1:1 맞춤형 컨설팅 및 협의체 등 네크워크 지원
판로 지원 및 마케팅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개척, 판촉 프로모션 지원, 온라인 판매를 위한 QR스마트 콘텐츠 제작 등
2-2. 농촌융복합산업 마케팅 및 우수 성과 확산
“농촌융복합산업에 대한 인지도 제고와 우수제품 판로개척으로 경영체 성장 지원”
판로 지원
우수 성과 확산
3-1. 사회적농업 활성화 지원
“농업 활동을 통해 돌봄·교육·고용 등 다양한 서비스를 공급하는 사회적농업 실천조직을 육성하고, 사회적농업을 포함한 농업·농촌 분야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통해 지역사회 통합을 실현하고 지역경제 및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
사회적농장 선정 기준
사회적농업을 실천하고 있는 농촌지역 소재 조직 (농업법인, 협동조합, 마을기업, 사회적 기업 등)
참여 혜택
사회적농업 자금지원(농식품부) + 성장지원(公社 농업·농촌 사회적 경제지원센터)
3-2. 농촌재능나눔사업
“고령화 및 인구감소, 소득격차 등으로 활력이 떨어져 있는 농촌지역에 개인 및 단체가 가진 지식·경험·기술 등의 다양한 재능나눔 활동을 지원”
3-3. 농촌형 교통모델사업 지원
“교통여건이 취약한 농촌지역에 맞춤형 교통서비스(버스, 택시)를 제공하여 주민들의 실질적인 이동권을 보장하는 정책사업 지원”
정리편집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