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조사를 보면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선진국은 출산율이 저조한 반면 오히려 후진국은 출산율이 높다는 조사 결과도 있는데요, 참으로 아이러니한 경우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에 출산율과도 이어지는 우리 공사 임직원분들이 생각하는 결혼과 자녀에 대한 생각을 담아보았습니다.
※ 다음은 한국농어촌공사 임직원 1,523명을 대상으로 한 내부 설문조사 응답 결과입니다.
금전 문제
(884표)
58%
생활방식 및 성격 차이
(521표)
34.2%
시댁 및 처가와의 트러블
(118표)
7.7%
힘들 때 항상 내 편이 되어줄
사람이 필요해서
(1,104표)
72.5%
갑작스레 운명의 상대를 만나서
(241표)
15.8%
영화, 운동 등 같이 할 사람이 없어
외로움을 느껴서
(178표)
11.7%
육아로 인한 경제적 부담 등
잘 키울 자신이 없어서
(864표)
56.7%
개인의 가치관
(371표)
24.4%
실효성 없는 국가정책
(195표)
12.8%
출산비용 및 육아비 정부 지원
(576표)
37.8%
직장인들의 육아 처우개선
(육아휴직,자녀 돌봄 등)
(483표)
31.7%
주거 안정을 위한 보금자리 지원
(대출, 행복주택 등)
(464표)
30.5%
여직원뿐만 아니라 남직원들도 아이를 낳아 돌보는 시기(30대~40 초반)가 승진 시기(입사 후 8년 차)와 맞물리는데 당연히 출산은 미뤄지게 되고, 그 시기가 지나버림으로써 자녀를 갖기 힘든 나이가 되고 자녀계획도 무산돼 버립니다. 승진과 별개로 육아(출산)도 응원받는 조직문화가 필요합니다.
이제는 예산을 투입하기만 한다고 되는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사회 구조가 좀 바뀌고 일 가정이 병행 가능한 사회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결혼하고 애도 키우죠.
육아휴직으로 공백이 생길 때 대체인력 충원이 적시에 가능한 조직 여건 조성이 필요합니다.
탄력 근무 및 재택근무 활성화를 전사적으로 지원해 주세요.
예측 가능한 인사이동, 마일리지제도 등 생활근거지 안정화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결혼 생활 근거지, 자녀계획 등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모든 아이는 국가가 책임지고 키운다는 개념을 정립하고 육아에 전념할 수 있는 물리적, 정신적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겨우 출산을 해볼까 하는 마음을 낼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