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농어촌 함께하는 KRC

KRC 우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농업생산기반시설은 안전하게!
미래전략실 기후정책추진단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호우와 같은 이상기상의 잦은 발생으로 수자원, 생태계, 농업, 산업 및 에너지, 정주 공간 등 광범위한 영역에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 의존성이 높은 농업의 경우 타 분야에 비해 재해 취약성이 높아 그 피해가 심각한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농어촌공사에서는 농진청, 산림청과 함께 농업 분야의 기후변화 영향을 조사하고 지역별 취약성을 평가하여 그 관련 정보를 농식품부 기후영향자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2023년도부터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후정책추진단에서는?
기후변화 실태조사를 왜 하는가?

기후변화에 취약한 농업 분야의 피해 최소화 및 기회요인 발굴, 관련 정책 개선·수립을 위해 기후변화 조사·평가를 법으로 제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가 농업·농촌에 미치는 영향·취약성 평가를 위한 농어촌용수 및 농업생산기반시설 분야 실태 조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47조의 2〕
기후변화가 농업·농촌에 미치는 영향을 매년 조사하고 5년마다 평가

농업 분야 기후변화 실태조사 추진 체계
우리 공사의 분야는?

농어촌용수 구역과 지역별 대표 농업생산기반시설을 선정하여 기온, 강수, 용수량 변화와 이에 따른 시설의 영향에 대해 과거 대비 최근 변화 정도를 조사합니다.

(조사 대상) 농업용수 공급 지역 511개소,
농업기반시설 1,070개소(저수지, 양수장, 배수장)

농어촌용수 부문 실태조사

농어촌용수 부문은 기후변화와 용수 수요 변화에 대해 기온, 관개기 강우 패턴, 강우 강도, 증발 산량, 필요 수량 등에 대한 과거 대비(30년) 최근의 변화를 조사합니다.

연평균 기온

연평균 강수량

논 농업용수 수요량

폭염일수

호우일수

밭 농업용수 수요량

농업생산기반시설 부문 실태조사

농업생산기반시설 부문은 농어촌용수 구역의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의 가뭄 영향, 홍수 영향 등에 대한 과거 대비(30년) 최근의 영향을 조사합니다.

가뭄 기간

홍수위험일수

과거 10년

최근 22년

실태조사 결과 활용은?

매년 실시하는 기후변화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5년 주기로 용수와 시설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며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평가 결과는 일반 농업종사자분들에게 지역별 기후정보와 작물별 기후변화에 따른 생산성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할 예정이며, 정책적으로는 이상기상이 심해지는 지역에 우선적인 대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초자료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또한 최근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개정 시 대상 지구에 기후변화 영향을 조사하고, 미래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설계빈도를 상향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였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에서도 최우선시 고려하는 상황인 만큼 우리 공사에도 많은 역할이 요구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결과(농어촌공사, 농진청, 산림청)는 ‘농업·농촌 기후변화 영향정보 제공시스템’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arccas.or.kr

정리편집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