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에 존재하는 자연수(自然水) 중 인류가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한 물을 수자원이라고 합니다. 농업용수는 수자원의 일종으로 우리 수자원관리처는 우리 공사 시설물(수원공)의 농업용수를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1 수자원관리처 수자원기획부
2 수자원관리처 수자원관리부
3 수자원관리처 시설개선부
4 수자원관리처 수자원시스템부
저수지(Reservoir: 공사관리 3,428개소)
관개 시기별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하천 계곡 등에 제체를 설치하여 필요 수량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물입니다. 우리 공사가 관리하는 저수지는 대부분 필(흙)댐(Fill Dam)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3,428 개소
2022년 통계연보 기준
분기별1회 (개소당)
「농업기반시설관리규정」 제정 이후 (2006년 12월) 등급별 기록관리
316,541 ha
전체 공사관리 지역 457,933ha
대비 69.1%
29.97 억톤
우리나라 전체 저수지 총저수량
33.09억 톤 대비 90.6%
양수장
(Pumping Station: 공사관리 3,853개소)
하천에서 자연 관개시설로 취수가 어려운 경우 동력을 이용해 목표 집수구역까지 용수를 보내기 위한 시설을 양수장이라고 합니다. 펌프, 동력장치, 제어장치, 흡입 및 배출 관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원이 관개지역보다 낮을 때 효과가 높습니다.
관정
(Tube Well, Bore Hore: 공사관리 1,566개소)
지하 대수층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설치한 구조물을 관정이라고 합니다. 적절한 수원을 개발할 수 없는 지역에 설치하기 유리한 장점이 있습니다. 지하수는 수질이 깨끗하여 밭작물 재배를 위한 용수로 활용되기에 적합합니다.
취입보
(Diversion Weir: 공사관리 6,049개소)
하천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막아 수위 상승에 의한 관개용수를 확보하는 구조물입니다. 보체, 취수구(문), 배사구, 침사지, 어도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담수호
(Freshwater Reservoir: 공사관리 방조제 144개소)
해면이나 감조호에서 해수를 차단하고 내부의 염수를 담수로 전환해 만든 호수를 담수호라고 합니다. 간척사업에 의한 방조제 조성 시 생성되는 호수입니다.
● 평면도로 이해하기
물을 운반하는 수로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관수로
개수로
수원에서 관개지역까지 필요 수량을 운반하는 기능을 가진 구조물을 ‘수로공’이라 합니다. 각 기능별로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으며 필요 수량 운반 외의 기능도 수행합니다.
1 통수시설: 용수 운반을 위한 주요시설을 연결합니다.
2 분수시설: 수로 내 분기점의 용수량 및 방향을 조절합니다.
3 합류시설: 유수의 합류를 안전하게 유도합니다.
4 조절시설: 수로 내 수위, 유량 등을 조절합니다.
5 보호시설: 수로의 기능 및 구조물을 보호합니다.
6 안전시설: 인명 및 동물의 피해를 방지합니다.
7 관리시설: 수로조직의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기존의 경험적 농업용수 관리 방식을 벗어나 ICT 기술을 적용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수자원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S/W시스템을 수자원관리시스템이라고 합니다.
수자원관리시스템은 농업용수 관리뿐만 아니라 수자원 관련 DB를 활용한 사전 재난 대응, 농업생산기반시설 유지관리, 유량·염도·수위 등 계측데이터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POINT
☑ 재난대응 #DIMAS, #TOMS, #ADMS
☑ 시설관리 #RIMS, #TOMS
☑ 계측관리 #RAWRIS, #RGMS
상기 나열된 시스템 외 다양한 수자원관리시스템이 지속적으로 개발·운영되고 있습니다.
글이규하(수자원기획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