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농어촌 함께하는 KRC

KRC ESG

한국농어촌공사
ESG·동반성장·적극행정 우수사례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어촌愛 Green가치 2030”을 비전으로 삼고 ESG경영, 동반성장, 적극행정을 추진해 가고 있는 가운데 〈ESG·동반성장·적극행정 우수사례〉를 독자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지자체와 상생·협력 거버넌스 구축’’으로
노후 저수지 안전성 확보
  1. “기후변화” 집중호우, 태풍 등으로 노후 저수지 위험
  2.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농업기반시설물 안전관리 강화
  3. “공사의 ESG 실천 및 노후 저수지 안전성 강화를 위한 기관 간 상생협력 추진”

<’22.9. 태풍 힌남노>

<제방 사면 일부 유실>

<시설물 점검 전경>

추진 개요
  1. 최근 강우현상이 대형화 되고 국지성호우로 변하고 있어 5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저수지에 대한 안전관리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음
  2. - 지자체는 시설물에 대한 전문인력 부족 등으로 안전관리 어려움
  3. 충남도는 시군ㆍ전문기관(공사)ㆍ민간(전문가)이 참여하는 TF 구성
추진 성과
  1. 충남도와 거버넌스(지원협의체)를 통한 ‘노후 위험 저수지 시설보강 사업’ 추진
  2. → (기존) 시설관리자(지자체)가 대상지 선정 등 사업 추진
  3. → (변경) 공사 및 민간전문가가 대상지 선정 등 참여로 전문성·투명성 제고
  4. ※ 공사(안전진단본부) 역할 : 시·군 담당자 안전점검 교육, 노후 저수지 현장 확인 및 점검결과 검증, 정밀점검 대상지구 선정 기술지원 등
  5. 지역사회 상생협력 체계를 새롭게 구축함으로써 공사의 ESG 실천 및 충남도 내 저수지 안전성 강화에 기여
“KRC 꿀벌 귀환 캠페인”
꿀벌 쉼터 마련으로 식량안보를 강화하다
  1. “2022년 1분기 전국 양봉농가에서 약 78억 마리 꿀벌 집단 실종”
  2. 100대 주요 작물 중 87종의 생산에 영향을 주는 생태계 보이지 않는 손 ‘꿀벌’이 집단으로 실종됐다?
  3. →‘KRC 꿀벌 귀환 캠페인’으로 꿀벌의 쉼터를 마련하고 생태계 종 다양성 보존, 식량안보 강화까지!
추진 개요
KRC
꿀벌 귀환
캠페인?
모금 활동

시민단체(평화의숲)와 연계하여 네이버 해피빈 국민모금

홍보 전개

후원 인증 EVENT, 리플릿 배포 등

밀원 조성

전남지역(국립나주숲 체원)에 히어리 등 밀원수 400그루 식재

기대 효과

“양봉 농가 간접 지원 및 자연생태계 건전성 유지”

추진 성과
사회적 이슈에 대한 국민적 관심 제고

  1. 중앙 및 지역 언론사 방송 취재 등 꿀벌의 공익적, 경제적 가치에 대한 홍보 효과 극대화
  2. 국민(공사 포함) 358명 참여, 총 모금 액 30백만 원

캠페인에 참여한 후원자의 목소리 中

“꿀벌이 못사는 곳에 인간이 얼마나 살 수 있을까요? 꿀벌과의 공존을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이 담긴 밀원수 프로젝트를 격하게 응원합니다”

- ID : hysm****

전남지역 밀원 조성 및 지자체 연계 캠페인 규모 확대 논의

  1. 전남지역(국립나주숲체원)에 밀원 수종 400그루 식재
  2. 지자체와 연계하여 캠페인 규모 확대 논의
  3. 예시:공사 저수지 유휴 부지 활용한 밀원 조성
  4. →양봉 농가 혜택, 관광명소 조성

녹조 제거 수상 드론 스타트업 업체와의 협업을 통한 맑은 물 공급
  1. 국민참여 플랫폼 “온국민소통 협업이음터”를 통한 민간업체 협업 매칭
  2. 스타트업 육성(예산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질 개선 실증사업 시행
  3. 실증사업 결과 수질 개선 효과 확인, 녹조 제거가 필요한 저수지로 확대 시행
추진 개요
  1. 제주지역 저수지 수질 이슈 발생
  2. 상류부 유기물로 저수지 녹조 발현
  3. 수질에 민감한 밭작물 특성에 맞는 맑은 물 공급을 위한 사업 추진
추진 성과
  1. 국민참여 플랫폼 “온국민소통 협업이음터”를 통한 협업 매칭
  2. - “온국민소통 협업이음터”를 통해 녹조 제거 수상 드론 개발업체와 협업 매칭됨
  3. 스타트업 프로그램인 “신한 스퀘어브릿지 제주”로 실증사업 추진
  4. - 한국농어촌공사, 신한그룹, 민간업체 협업을 통한 수질 개선 실증사업 시행

정리 홍보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