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에 존재하는 자연수(自然水) 중 인류가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한 물을 수자원이라고 합니다. 농업용수는 수자원의 일종으로 우리 수자원관리처는 우리 공사 시설물(수원공)의 농업용수를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1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RIMS)
수자원관리처 등2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RAWRIS)
수자원관리처3 KRC재난안전종합상황실시스템 (DIMAS)
안전경영실 등4 용수시설통합운영관리시스템 (TOMS)
수자원관리처5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 (RGMS)
수자원관리처② 농업생산기반시설 관리자는 (중략) 제1항의 안전관리계획에 따라 안전 점검과 정밀안전진단을 하여야 한다.
농어촌정비법 시행령 제26조(농업생산기반시설의 안전관리)④ 안전 점검과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결과 결함이 발견된 (중략) 시설에 대해서는(중략) 개수 보수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농업생산기반시설 관리 규정 제14조(안전 점검 실시 시기 등)② 정기 점검은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운전 조작 및 장비, 장애물 제거 등을 위하여 분기별로 1회 이상 실시하되, 영농기 전에는 반드시 실시한다. (이하 생략)
농업생산기반시설 관리 규정 제15조(안전 점검 시행 및 결과 보고)③ 시설 관리자는 안전 점검 실시 결과 재해 발생이 우려되어 (중략) 우선적으로 응급조치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그 내용을 시·도지사에게 즉시 보고하여야 한다.
관련 법령 준수를 통해 아래와 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평소 안전 점검을 소홀히 하여 시설물이 방치되면 생각지도 못한 재난 발생에 의해 국민의 인명과 재산, 농업기반시설물의 피해가 발생하게 됩니다.
취입보는 하천의 수위가 낮은 경우 수위를 상승시켜 물을 높은 위치의 수로로 흘러갈 수 있게 하천 등을 가로질러 설치한 보를 말합니다.
고정보와 가동보가 있는데 수위, 유량을 조절하는 가동 장치가 없으면 고정보, 있으면 가동보입니다.
설치 방향에 따른 분류
가. 상하 개폐식: Sluice Gate, Roller Gate
나. 회전 개폐식: Tainter Gate, Roller Gate
다. 기복 개폐식: Drum Gate, Rubber Gate, Shutter Gate
① 논산지사 도리미 취입보 (고무보)
② 담양지사 유산 취입보
(전도게이트)
가동보는 수위·유량 조절이 가능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피해 저감에 능동적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방조제란 간척사업에 의해 조성된 내부 육지에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축조된 제방을 말하고, 방수제란 담수호 및 유입 하천의 계획홍수량으로부터 간척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제방 구조물을 말합니다. 그리고 방조제를 조성함으로 인해 해면과 내륙 경계에 생성되는 인공호수를 담수호라고 합니다.
방조제 관리 체크
1. 방조제 관리
제체 침하, 누수 방지 내외 측 사면 세굴 방지 주기적인 안전 점검 실시
2. 배수갑문 관리
기전설비 상시 점검 배수갑문 본체 사전정비
글 이규하(수자원기획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