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농어촌 함께하는 KRC

KRC 우리는

수자원관리처가 전하는
“누구나 알기 쉬운 수자원” 두 번째 이야기

지구상에 존재하는 자연수(自然水) 중 인류가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한 물을 수자원이라고 합니다. 농업용수는 수자원의 일종으로 우리 수자원관리처는 우리 공사 시설물(수원공)의 농업용수를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수자원관리시스템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RIMS)

수자원관리처 등
  •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농업기반시설 및 용수 관리로 재해 예방 및 물관리 효율 증대를 위한 유지관리 종합정보시스템

2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RAWRIS)

수자원관리처
  • 공사관리 수리시설의 제원 정보, 용수관리 정보 등 대국민 정보 공개
  • 10분 단위 저수율 계측값, 계측기 등록·수정 등 관리자 기능 등

3 KRC재난안전종합상황실시스템 (DIMAS)

안전경영실 등
  • 재해, 재난 상황 발생 시, 가뭄, 홍수, 태풍, 지진 등의 정보를 상황실에 표출하여 신속한 대응체계 마련

4 용수시설통합운영관리시스템 (TOMS)

수자원관리처
  • 지사 단위로 구축된 TM/TC 시스템을 표준화하여 통합 DB를 구축하고 웹·모바일을 활용하여 계측 정보 및 CCTV 영상 제공

5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 (RGMS)

수자원관리처
  • 과학적인 용수 관리 및 지하수 정보공유를 위한 농어촌 지하수 종합정보시스템
안전 점검은 왜 할까요?
농어촌 정비법 제18조(농업생산기반시설의 관리)

② 농업생산기반시설 관리자는 (중략) 제1항의 안전관리계획에 따라 안전 점검과 정밀안전진단을 하여야 한다.

농어촌정비법 시행령 제26조(농업생산기반시설의 안전관리)

④ 안전 점검과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결과 결함이 발견된 (중략) 시설에 대해서는(중략) 개수 보수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농업생산기반시설 관리 규정 제14조(안전 점검 실시 시기 등)

② 정기 점검은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운전 조작 및 장비, 장애물 제거 등을 위하여 분기별로 1회 이상 실시하되, 영농기 전에는 반드시 실시한다. (이하 생략)

농업생산기반시설 관리 규정 제15조(안전 점검 시행 및 결과 보고)

③ 시설 관리자는 안전 점검 실시 결과 재해 발생이 우려되어 (중략) 우선적으로 응급조치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그 내용을 시·도지사에게 즉시 보고하여야 한다.

관련 법령 준수를 통해 아래와 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농업생산기반시설 피해 사례

평소 안전 점검을 소홀히 하여 시설물이 방치되면 생각지도 못한 재난 발생에 의해 국민의 인명과 재산, 농업기반시설물의 피해가 발생하게 됩니다.

취입보 시설은 무엇일까요?

취입보는 하천의 수위가 낮은 경우 수위를 상승시켜 물을 높은 위치의 수로로 흘러갈 수 있게 하천 등을 가로질러 설치한 보를 말합니다.

취입보의 종류에는 어떤 게 있을까요?

고정보와 가동보가 있는데 수위, 유량을 조절하는 가동 장치가 없으면 고정보, 있으면 가동보입니다.

1
고정보의 종류

설치 방향에 따른 분류

2
가동보의 종류

가. 상하 개폐식: Sluice Gate, Roller Gate
나. 회전 개폐식: Tainter Gate, Roller Gate
다. 기복 개폐식: Drum Gate, Rubber Gate, Shutter Gate

① 논산지사 도리미 취입보 (고무보)

② 담양지사 유산 취입보
    (전도게이트)

가동보는 수위·유량 조절이 가능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피해 저감에 능동적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방조제? 방수제? 담수호?
간척사업을 시행함으로 인해 방조제, 방수제, 담수호라는 관리 대상 시설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들 시설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방조제란 간척사업에 의해 조성된 내부 육지에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축조된 제방을 말하고, 방수제란 담수호 및 유입 하천의 계획홍수량으로부터 간척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제방 구조물을 말합니다. 그리고 방조제를 조성함으로 인해 해면과 내륙 경계에 생성되는 인공호수를 담수호라고 합니다.

방조제 표준단면도
방수제 표준단면도
담수호 단면도
유지관리는 어떻게 할까요?
  • 외(해)수의 강한 파랑에 견딜 수 있도록 방조제 제체사면의 안정성 유무를 사전에 파악하여 내부개답지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담수호 내 원활한 유입 및 배제를 통해 수질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배수갑문 사전작동 유무 확인 등 상시 관리가 필요합니다.

방조제 관리 체크

1. 방조제 관리

제체 침하, 누수 방지 내외 측 사면 세굴 방지 주기적인 안전 점검 실시

2. 배수갑문 관리

기전설비 상시 점검 배수갑문 본체 사전정비

이규하(수자원기획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