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네이버 블로그 바로가기 한국농어촌공사 유튜브 바로기기 한국농어촌공사 페이스북 바로가기 한국농어촌공사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이런 나서기

이 계절엔 이 음식

여름아, 반갑다!
고맙다, 참외야!

수분 가득한 아삭 달콤한 과육은 여름의 열기를 씻겨주며, 곱디고운 노란 자태는 여름의 풍경을 더욱 다채롭게 만든다. 참외 없는 여름은 절대 상상되지 않을 터. 여름아, 반갑다. 고맙다, 참외야.

#참외의 국제 명칭

참외는 ‘진짜’, ‘우수한’을 뜻하는 접두사 ‘참’과 오이의 합성어다. 과거 참외는 한국·중국·일본 모두에서 재배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우리나라 말고는 참외를 재배하는 나라가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참외의 국제 명칭은 ‘코리안 멜론(Korean Melon)’이다. 2016년 국제식품규격위원회가 정한 이름으로, 그동안 참외는 국제식품 분류가 없어서 홍콩·싱가포르 등 일부 국가에만 수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식 명칭을 얻고 멜론류로 분류되면서, 멜론류의 농약 잔류 기준을 까다롭게 심사하는 유럽, 동남아시아 등지로 수출길을 확대하게 되었다.

#참외의 다양한 품종

참외는 박과 식물로 수박·오이·호박 등과 친척이며, 멜론의 품종 중 하나로 보고 있다. 멜론과 오이의 중간 맛을 내며, 과채류에 속한다. 제철은 6월~8월이지만 비닐하우스에서 1년 내내 재배가 가능하다. 과거 우리나라에서 성환·먹·개구리·강서·감·열골 등 다양한 참외가 재배됐다. 대부분 오이보다 살짝 달면서 초록색 껍질을 가진 재래종으로, 멜론과 비슷한 모습도 많았다. 지금과 같이 노란 참외는 1950년대 일본 품종이 도입되면서부터 볼 수 있게 됐다. 일본 품종의 여러 결점이 보완·개량되면서 지금의 국산 참외가 완성된 것이다.

#참외 고르는 방법

햇빛과 양분을 많이 받은 참외일수록 골이 깊고 개수가 많다. 뚜렷한 흰 골이 10개 정도 있는 참외가 좋으며, 전체적으로 모양이 일정하고 껍질의 노란색이 진하면서도 선명한 참외가 맛있다. 또 손바닥으로 두드려서 통통 소리가 나는 것이 좋으며, 둔탁한 소리가 나는 참외는 피한다. 참외를 7일 이상 장기 보관할 경우에는 깨끗한 물로 씻은 뒤 신문지로 싸서 냉장보관을 한다. 한편, 국내 참외 생산량의 70% 안팎을 성주가 담당한다. 가야산을 병풍 삼고, 낙동강을 곁에 둔 성주는 참외 재배지로 적합해 1950년대부터 본격 참외 농사를 시작했다.

#참외의 영양 성분

참외는 100g당 열량이 31kcal밖에 되지 않지만, 수분 함량이 90%에 달해 여름철 갈증 해소에 좋다. 또 임신부에게 꼭 필요한 엽산이 풍부하다. 엽산은 핵산을 합성하고 적혈구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로 태아의 선천성 기형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성인에게도 엽산이 부족하면 빈혈, 현기증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하루에 참외 1개만 먹어도 1일 엽산 권장량을 충족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칼륨 및 비타민C가 풍부하게 들어있어 체내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을 준다. 껍질에 함유된 베타카로틴 성분은 간 기능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참외오이 장아찌

재료

백오이 15개~18개(2.8kg), 참외 4개~5개(1.8kg), 청양고추 3개, 홍고추 3개, 베이킹소다 1큰 술, 천일염 200g, 장아찌물(현미식초 500ml, 물엿 500ml, 올리고당 500ml, 소주 200ml)

요리법

1 베이킹소다 1큰 술을 풀어놓은 넉넉한 물에 오이, 참외, 청양고추, 홍고추를 넣고 10분간 담가준다.
2 흐르는 물에 부드러운 수세미로 재료들을 깨끗이 씻는다.
※ 껍질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조심
3 깨끗이 씻은 재료들을 채반에 받친 다음 키친타월로 남은 물기를 꼼꼼히 닦는다.
4 오이와 참외 양 끝은 잘라내 버리고, 참외는 반으로 가른 다음에 씨와 무른 과육은 수저로 긁어낸다. ※ 참외 안의 과육도 키친타월로 닦아낼 것
5 보관 용기에 오이, 참외, 청양고추, 홍고추, 천일염을 넣고 장아찌물을 붓는다.
6 2일~3일간 숙성시키면 꼬들꼬들 새콤달콤한 장아찌 완성!

참외

주성분 엽산

핵산을 합성하고 적혈구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

제철 6월~8월

여름철 갈증 해소 및 체내 균형 유지에 탁월

주산지

경북 성주. 습도 높은 토양과 따뜻한 기후가 참외 생산에 적합

좋은 참외

골이 깊고 개수가 많으며, 선명한 노란빛을 띠는 참외

기시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