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네이버 블로그 바로가기 한국농어촌공사 유튜브 바로기기 한국농어촌공사 페이스북 바로가기 한국농어촌공사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우리의 소확행 라이프

KRC 맞춤법 설명서

올바른 공문서 작성법

공공기관은 한글 맞춤법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쉬운 언어 사용으로 많은 사람들이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할 의무가 있습니다. 공문서 작성 예시를 통해 바람직한 공공언어 사용을 익혀 봅니다.

① 관련∨:∨○○○부 → 관련:∨○○○부
▷ 쌍점(:)은 앞말에 붙여 쓰고 뒷말과는 띄어 씁니다.
② 2022.07.01 → 2022.∨7.∨1.
▷ 연월일을 나타내는 숫자 뒤에 찍는 마침표는 ‘연, 월, 일’이라는 말을 생략했다는 의미이므로 ‘일’을 나타내는 숫자 뒤에도 마침표를 찍어야 합니다.
▷ 마침표 뒤에 오는 숫자는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 날짜를 숫자로 표기할 때는 숫자 앞에 0을 적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③ 5일자로 → 5일∨자로
▷ 자(字)는 명사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④ 기 통보한 → 이미 통보한
⑤ 감염 확산 방지에 철저를 기하여 주시기 바라며
     → 감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철저히 해 주시기 바라며
⑥ 적의 조치를 취한 후 → 적절한 조치를 취한 뒤
⑦ 지체 없이 → 바로
▷ 기(旣), 적의(適宜)와 같은 한자어는 쉬운 말로 바꿔 써야할 순화대상어입니다.
▷ 어렵고 상투적인 한문 투 표현은 쉽고 자연스럽게 풀어쓰는 것이 좋습니다.
▷ ‘지체 없이’의 경우 ‘지체함이 없이’가 문법상 옳은 표현이지만 이보다는 ‘ 바로’와 같은 쉬운 말을 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⑧ 붙임:∨1.∨ → 붙임∨∨1.∨
▷ 자(字)는 명사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⑨ 1부.∨끝. → 1부.∨∨끝.
▷ 본문이 끝났을 경우, 2타를 띄우고 ‘끝’을 표시합니다.

참고자료. <개정 한눈에 알아보는 공공언어바로쓰기>(국립국어원)

정리 원고훈, 이윤희(한국농어촌공사 홍보실)